만돌린 스쿨

악보를 보기위한 용어

아 트 미 2012. 10. 1. 22:22

※ 빠르기말과 나타냄말

1. 다른 말에 덧붙여서 쓰는말
assai(아싸이) : 매우(예:Allegro assai)
molto(몰토) : 매우(예:molto vivace)
piu(피우) : 더욱(예:piu Allegro)
poco a poco(포코 아 포코) : 조금씩(예 : poco a poco Allegro)
ma non tropo(마 논 트로포) : 지나치지 않게(예 : Allegro ma non tropo)

2. 특정 곡명으로 빠르기를 나타내는말
Tempo di Marcia(템포 디 마르치아) : 행진곡의 빠르기로
Tempo di valse(템포 디 발세) : 왈츠의 빠르기로
Tempo di Menuet(템포 디 미뉴엣) : 보통 빠르기의 3박자

3. 빠르기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말
accelerando(accel.)(아첼레란도) : 점점 빠르게
ritardando(rit.)(리타르단도) : 점점 느리게
rallentando(rall.)(랄렌탄도) : 점점 더 느리게
allargando(알라르간도) : 점점 느려지면서 폭이 넓고 세게
meno mosso(메노 모쏘) : 빠르기를 늦추어서

4. 연주자 임의대로 정하라는 빠르기말
Tempo rubato (템포 루바토) : 느리거나 빠르거나 임의대로
ad libitum(ad lib.)(아드 리비툼) : 자유롭게, 임의대로
a piacere (아 피아체레) : 자유롭게, 임의대로

5. 본디의 빠르기로 돌아가라는 빠르기말
a tempo : 본디 빠르기로(rit.나 rall.에 의해 조금 느려진 것을 전의 빠르기로 돌아가라는 말)
Tempo I(primo)(템포 프리모) : 처음 빠르기로(악 곡의 처음 빠르기로 돌아 가라는 말)

6. 부분적인 셈 여림
sforzando(sf,sfz)(스포르짠도) : 특히 세게
rinforzando(rfz)(린포르짠도) : 갑자기 세게
pf(piano-forte) : 여리고 곧 세게
fp(forte-piano) : 세게 곧 여리게
subito piano(수비토 피아노) : 갑자기 여리게
subito forte(수비토 포르테) : 갑자기 세게

7. 나타냄말
dolce(돌체) : 부드럽고 아름답게
grazioso(그라찌오소) : 우아하게
maestoso(마에스토소) : 장엄하게, 위엄있게
appassionato(아파시오나토) : 정열적으로
lamentoso (라멘토소) : 슬프게
animato(아니마토) : 생기있게
arioso(아리오소) : 노래하듯이, 아리아처럼
con espressivo(콘 에스프레시보) : 표정을 넣어서
con moto(콘 모토) : 움직임을 가지고, 속도를 넣어서



※ 주법에 관한 기호

1. 레가토(Legato) : 호선(弧線)으로 음과 음사이를 연결하여 음이 끊어지지 않게 매끄럽게 연주하라는 뜻으로, 이음줄(Slur)과 붙임줄(Tie)이 있다.
이음줄(Slur) : 높이가 다른 음을 호선으로 연결하여 계속적인 연주나 악곡의 한 악절, 현악기에서 활의 사용법 등을 지시할 때 쓰인다.
붙임줄(Tie) : 높이가 같은 음을 호선으로 연결하여 한 음으로 표시할 때 쓰인다. 특히 당김음을 만들 때 쓰인다.

2. 스타카토(Staccato) : 음을 짧게 끊어서 연주하라는 표로써 Legato와는 반대의 뜻을 가진다. 스타카토의 종류를 보면 표시된 음표를 1/2 길이로 끊어서 연주하라는 뜻의 스타카토(staccato), 1/4길이로 짧게 연주하라는 뜻의 스타카티시모(staccatissimo), 3/4정도의 길이로 끊어질 듯 이어질 듯 연주하라는 뜻의 메조 스타카토(mezzo staccato)가 있다.

3. 테누토(Ten., Tenuto) : 그 음표의 길이를 충분히 연주하라는 뜻의 기호로서 Sos.(Sostenuto)와 같은 뜻으로 쓰이며 ( - )로 표시하기도 한다.

4. 글리산도(Glissando) : 건반악기나 현악기를 연주할 때 손가락으로 훑어 올리거나 내리는 주법을 사용하라는 표로서 선으로 연결된 두 음 사이만을 훑어서 연주한다.

5. 포르타멘토(Portamento) : 글리산도가 기악곡의 주법인 반면 포르타멘토는 성악곡에 사용되며 ( )로 연결된 두 음을 끊어지지않게 연결하여 끌어 올리거나 끌어 내리는 표.

6. 피치카토(Pizzicato)와 아르코(Arco) : 현악기를 연주할 때 손가락으로 현을 뜯거나 퉁겨서 연주하는 주법을 피치카토라 하고 활을 사용하여 소리내는 주법을 아르코라 한다.

7. 약음기 사용에 관한 기호 : 현악기를 연주할 때 약음기를 사용해야 하는 부분을 Con Sordino로 표시하며 약음기를 제거하고 연주하 라는 뜻은 Senza Sordino라 쓴다.

8. 페르마타(Fermata) : 음표나 쉼표위에 있을 때는 그 길이의 2~3 배로 늘여서 연주하라는 뜻이고, 겹세로줄 위에 있을 때는 끝마침을 나타낸다.



※ 기악곡

1. 소나타(Sonata) : 소나타 형식[서주―제시부―발전부(전개부)―재현부―Coda(종결악절)]을 제1악장으로 한 3∼4악장으로 된 기악곡으로 바이올린, 피아노를 위한 것이 가장 많다. 소나타는 하이든에 의하여 형식이 확립되었고, 모짜르트에 의하여 발전되었으며, 베토벤에 의 하여 완성되었다.

2. 소나티네(Sonatine) : 소나타가 축소된 형식으로 전체를 3악장으로 하고 제1악장은 발전부 대신 간단한 삽입구가 들어가는 등 간결하게 구성된 형식이다.

3. 실내악(Chamber Music) : 몇 개의 악기가 연주하는 소나타로 2중주, 3중주, 4중주, 5중주 등으로 불린다.

4. 교향곡(Symphony) : 관현악으로 연주하는 소나타를 말하며 관현악으로 연주하는 형식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완전한 짜임새를 가진 대표적인 악곡이다.

5. 협주곡(Concerto) : 독주 악기와 관현악을 위한 소나타로 바로크 협주곡과 고전 협주곡으로 구분한다.

     (1) 바로크 협주곡(또는 합주 협주곡, Concerto Grosso)
     바로크 시대에 사용된 형식으로 '합주 협주곡'이라고도 부르며 Allegro- Andante(또는 Adagio)- Allegro의 3악장에   

     합주와 독주 또는 중주가 교대로 연주하는 형식이다.

     (2) 고전 협주곡(또는 독주 협주곡, Solo Concerto)
      고전파에 의하여 완성된 협주곡으로 '독주 협주곡'이라고도 부른다. 소나타의 제3악장을 생략한 3악장 형식으로 독주와

      관현악은 대립하여 연주하고 특히 독주 악기의 기교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작곡된 카덴짜(Cadenza)가 제1악장

       또는 제3악장에 삽입된다.

 6. 모음곡(Suite) : 독립된 악곡을 몇개 모아 하나의 악곡으로 엮은 형태로 고전 모음곡과 근대 모음곡으로 나뉜다.



※ 기타 기악곡

1. 교향시(Symphonic poem) : 형식에 구속을 받지 않는 관현악곡으로 문학적, 회화적인 내용을 표현하는 표제 음악의

                          한 종류이다. 대규모 편성의 관현악단을 사용하여 악상의 폭을 넓힘으로써 색채의 표현이 풍부하다.

                             리스트가 창시함.

2. 서곡(Overture) : 오페라, 오라토리오 등에서 막이 오르기 전에 연주하는 관현악곡을 말하며,

               서곡은 악곡의 주요한 가락을 엮어 나가거나, 또는 전혀 다른 가락으로 본곡의 줄거리나 분위기를 암시한다.

                그러나 이와는 관계 없는 독립된 연주회용 서곡도 있다(차이코프스키의 '1812년 서곡', 브람스의 '대학 축전 서곡' 등)

3. 전주곡(Prelude) : 서곡과 같이 오페라, 악극, 모음곡 등의 첫 머리곡으로 쓰이는 것으로 관현악 외에 독주곡도 있으며,

                              쇼팽의 전주곡 15 번 <빗방울>과 같이 독립된 곡도 있다.

4. 연습곡(Etude) : 원래 연주의 기교를 체계적으로 연마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곡인데 쇼팽, 리스트의 연습곡과 같이

                              예술적인 악곡으로 승화시켜 아주 어려운 기교를 연출하는 연주회용 연습곡도 있다.

5. 무언가(Song Without Words) : 멘델스존에 의하여 창시된 형식으로 가사가 없는 가곡이란 뜻이며

                               노래하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대부분 세도막 형식으로 되어있는 즉흥적인 피아노 곡조이다.

6. 즉흥곡(Impromtu) : 낭만 시대에 성행하였던 기악 소품의 하나로 작곡자의 악상에 즉흥적 요소를 넣어 자유롭게

                               다듬은,  형식이 극히 자유로운 악곡으로 슈베르트, 쇼팽에 의하여 많이 쓰여졌다.

7. 광시곡(Rhapsody) : 서사적인 성격을 지닌 자유로운 형식의 기악곡으로 빠르기나 곡의 변화가 격정적인 것,

                                민족적 색채를 지닌 것 등이 많다.

8. 야상곡(Nocturne) : 아이슬랜드의 작곡가 존 필드에 의해 창시되어 쇼팽에 이르러 예술적으로 발전된, 속도가 느리고

                                표정에 넘친 낭만 시대의 악곡으로, 몽상적인 분위기를 묘사하는 음악이다.

9. 세레나데(Serenade, 소야곡) : 애정이 있거나 존경하는 사람에게 바치는 저녁 음악이란 뜻인데, 성악의 경우 저녁

                    나절  사랑하는 여인의 집 창 아래에서 부르는 사랑의 노래를 말한다. 오늘날에는 기악곡으로 많이 작곡 되었다.

10. 환상곡(Fantasy) : 일정한 형식 없이 작곡자의 환상적인 악상을 자유롭게 전개하는 기악곡이다.

11. 발라드(Ballade, 담시곡) : 본래 자유로운 형식의 성악곡으로, 줄거리가 있는 서사시에 의한 가곡을 뜻하는 말이었으나

                                      쇼팽과  브라암스는 성격적 소품으로 된 피아노곡에 발라드란 이름을 썼다.

12. 인벤션(Invention) : 다성 음악 기법의 하나로, 하나의 짧은 주제를 모방하여 2성 또는 3성으로 전개하는 간단한

                                    기악곡을 말한다.

13. 춤곡(Dance Music) : 원래는 춤을 추기 위한 악곡이었으나 근래에는 연주회용으로도 많이 연주된다.



※ 기악곡의 연주 형태

1. 독주(Solo) : 혼자서 악기를 연주하는 것으로 대개는 피아노, 오르간, 오케스트라 등의 반주가 따른다

2. 중주(Ensemble) : 두 사람 이상이 각기 다른 종류의 악기를 연주.

      2중주(Duett) : 바이올린과 피아노, 첼로와 피아노 등 

      3중주(Trio) ▷현악 3중주 :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피아노 3중주 :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4중주(Quartett) ▷현악 4중주 :
제1바이올린, 제2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피아노 4중주 : 피아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5중주(Quintett) ▷현악 5중주:

                                 현악 4중주 중 비올라나 첼로가 2부로 됨

                               ▷피아노 5중주: 현악 4중주에 피아노가 추가된다 

       현악 6중주: 2Vi. 2Va. 2Vc 

       현악 8중주: 4Vi. 2Va. 2Vc 

        목관 4중주: 플륫,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목관 5중주: 목관 4중주 + 호른

3. 합주

관악 합주(Brass Band): 취주악이라고도 하며 목관, 금관, 타악기 등으로 편성된 합주로, 행진곡 등의 씩씩하고 화려한 악곡의 연주에 알맞다.

현악 합주(String Orchestra) : 현악기만의 합주이다.

관현악(Orchestra) : 기악 연주 형태 중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목관, 금관, 관악기 및 타악기 등으로 구성된다.

'만돌린 스쿨'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ndolin Lessons - Position movements  (0) 2012.10.04
Mandolin Lessons- The Pick (Part 1) ,(part2)  (0) 2012.10.04
버징  (0) 2012.10.01
표현법  (0) 2012.10.01
연주 파트  (0) 2012.10.01